
|
하나 -
이 그림은 사람이 팔과 다리를 몸통에 붙인
상태에서 왼팔을 앞으로 90도 각도로 올린
것이 첫째 그림이다. 이 때 손등이 위로 향하도록
해야 한다. 손 바닥이 위로 올라 가면 하나님이
보이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. 그 다음에
엄지손가락을 다른 손가락과 90도 각도로 되도록
펴면 된다. 오른쪽의 막대기 3개가 위로 올라
간 것은 엄지손가락의 마디가 3개임을 나타낸
것이다.
|

|
둘 - 이
그림은 엄지 손가락의 마디를 2번 꺽는 것을
그린 것이다. 이 때 손가락이 90도로 아랫
방향으로 내려 가는 것이 아니고 45도 각도로
내려 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. 이 45도 각도로
꺽어지는 것으로부터 둘의 특성을 들여다 볼
수 있다.
|

|
셋 - 위의
둘에서 다시 엄지손가락을 위로 세우는 것을
그린 것이다. 이 셋은 섯다는 의미가 강하다는
것을 여기서 알 수 있다. 하나 둘 셋이 똑같은
엄지손가락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결국 이 3개가
같은 것이라는 것을 말하며 단지 다른 특성을
가지고 있음을 설명해 주고 있다. 그 특성이란
바로 하나로 되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.
이 셋의 의미는 수학의 피타고라스정리를
생각하면 그 개념을 쉽게 이해할
수 있다.
|

|
넷 - 셋에서
엄지손가락을 손 바닥 안으로 접어 넣고, 나머지
손가락을 위로 세운 것을 그려 주고 있다.
이 때 손등이 자기 쪽으로 보이도록 해야 한다.
밑에 있는 2개의 수직선은 검지와 중지를 나타내고,
위의 짦은 2개의 수직선은 약지와 소지를 나타낸다.
이 넷은 셋으로부터의 일탈을 의미한다. 생물학적으로
이해하면 일종의 최초의 복제과정이라 할 수 있다.
여기서 글자
無의개념이 나오게 된다. 복제판들이
판을 치기 시작한다는 의미다.
|

|
다섯 -
넷에서 손 바닥 부분이 수평이 되게 한 상태에서
모든 손가락을 세우면 된다. 손 바닥을 세우더라도
완전히 수직으로 세울 수가 없다. 왼쪽에 있는
것이 손 바닥이 없는 손가락을 가리키고, 오른
쪽에 서있는 것은 뿌리마디가 없는 엄지손가락을
뜻한다. 그래서 총 마디수가 다섯 개가 되는
것을 볼 수 있다. 중국의
오성홍기.
|

|
여섯 -
다섯까지는 왼손으로 만들었지만, 여섯은 오른손으로
넘어간다. 위의 점 3개는 왼손 엄지손가락이고,
아래의 점 3개는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의미한다.
이 엄지손가락이 섯다는 것을 오른쪽의 셋과
비슷한 그림이 나타내 주고 있다. 이 때 서긴
섯어도 수직으로 선 것이 아니라 45도 각도로
비스듬히 섯다고 봐야 한다. 이
여섯은 이스라엘의 국기에서 그
의미를 새겨 볼 수 있다.
|

|
일곱 -
오른 손의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을 동시에
세워서 끝을 서로 이은 모습을 형상화 시킨
것이다. 첫 번째 그림에서는 엄지손가락이
왼 쪽에 있지만, 두 번째 그림에서는 엄지손가락이
아래로 내려 가기 때문에 오른쪽으로 이동을
했다. 이는 넷과 셋의만남을 의미한다. 일곱의
개념 속에는 바로 구원을 하는 자와 구원을
해주는 자 사이의 만남의 의미가 들어 있다.
|

|
여덟 -
이 그림은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
4개의 손가락을 두 번째 마디를 구부린 상태에서
오른손의 손가락을 왼손 위에 포갠다. 이때
엄지손가락은 첫 번째 그림의 밑에 있는 모양처럼
끝을 맞댄 모양이 첫 번째 그림이다. ㄹ모양의
두 번째 그림은 왼손의 검지를 비롯한 4개의
손가락을 이용해서 오른손의 검지를 비롯한
4개의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 위의 두 마디를
연결한 모습니다.
|

|
아홉 -
사람이 팔 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 모습의 첫
번째 그림은 안으로 소통을 하는 모습이다.
두 번째 그림은 하나에서 나올 때의 반대 방향으로
다시 돌아 들어 가는 모습을 형상화 기켜 놓은
것으로 해석하면 된다. 그러나 그 들어간다는
것이 아직은 완전하지 않다는 점이 다음의 열과 다르다면
다른 점이다.
|

|
열 - 하나가
나올 때의 과정의 반대 방향으로 다시 돌아
간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. 이는 앞의 일곱
여덟 아홉의 과정을 마쳤다고 해석을 해도 된다. 이는 "하나님
가라사대"의 사슴글부분을 간단하게 서술한 것이다.
책 [구독]은
여기를 클릭하세요.
|